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사진=연합뉴스
정서·행동 위기 아동이 늘면서 학교 현장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17일 교육계에 따르면, 좋은교사운동의 2022년 설문조사에서 전국 유·초·중학교 교사 681명 중 87퍼센트(%)가 정서·행동 위기 학생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서울 초등교사 A씨는 “수업 중 사물함에 드러눕거나 친구 책에 낙서하는 학생이 한 반에 한 명꼴”이라며, 경기 교사 B씨는 “10년 전 학년에 12명이었던 위기 학생이 이제 한 반에 12명”이라고 밝혔다.
만 5~14세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는 2022년 7만3천 명에서 2024년 11만4천 명으로, 비율은 1.6퍼센트(%)에서 2.7퍼센트(%)로 증가했다.
그러나 학부모 동의 없이는 상담이나 치료를 강제할 수 없어 교사들은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있지만, 학부모가 치료를 거부하면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서울교사노조 정혜영 대변인은 “고위험군 진단에도 ‘우리 아이는 정상’이라며 거부하는 학부모가 많다”고 전했다.
서울시교육청 논문(2025년 3월)에 따르면, 초등교사 1천200명 중 58.5퍼센트(%)가 ‘가정과의 협조’를 가장 큰 지도 어려움으로, 66.9퍼센트(%)가 ‘학생·학부모 협조’를 필요 요소로 꼽았다.
교육계는 학부모 동의 없이 상담·치료를 가능케 하는 법안과 위기 학생 전담 교사 양성을 촉구하며, 좋은교사운동 관계자는 “국가 차원의 전문 인력과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