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사진=연합뉴스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17일 전국 지방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협박 사건 수사를 범인 특정 실패로 중단했다고 밝혔다.

국내 기간 뉴스 통신사인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서울·인천 등 기초의원들에게 수사 중지 결과를 통보했다.

메일 계정, 접속 IP, 휴대전화 번호, 전자지갑 주소 등을 추적하고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 공조를 요청했으나, 해외 발송 메일로 인해 피의자 추적이 난항을 겪었다.

경찰은 추가 단서 확보 시 수사를 재개할 방침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협박은 주로 20~40대 남성 의원들을 겨냥, 나체 합성 사진과 함께 암호화폐를 요구하는 QR코드를 보냈다.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대구 등 최소 40여 명이 피해를 입었으며, 실제 피해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딥페이크 (PG).사진=연합뉴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피해 의원들은 “작은 선거구에서 딥페이크가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표했다.

최병호 고려대 AI연구소 교수는 “AI 기술 발전으로 딥페이크를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워졌다”며 “선거철 투표 방해는 테러급 범죄”라고 경고했다.

그는 해외발 딥페이크 추적의 한계를 지적하며, 출처 불명 영상을 의심하는 ‘AI 리터러시(문해력)’ 캠페인과 국가 차원의 진위 판별 프로세스 도입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