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8월12일 화요일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소년의 전정을 기약할 일)

세계 대학교 중에 가장 큰 곳은 한 집에 학도가 삼사천 명이고, 교사가 수삼 백 명이라. 학교 중에서 범백(편집자 해석: 모든, 여러 가지) 사무를 거의 다 자주하여 정부에서 찬조는 할지언정 별로 간섭은 적으므로, 학사들의 졸업증서 주는 권리와 범과(犯科, 편집자 해석: 법이나 규칙을 어김) 하는 자를 다스리는 재판 권리가 다 학교 중에 있어, 학교 중에서 정한 장정 규칙을 따라 임의로 처판(處辦, 편집자 해석: 재판하거나 징계함)하나니, 민국의 교육 숭상하는 본의와 국세의 흥왕 하는 근본이 이에 있음을 가히 알겠도다.

영국의 옥스퍼드와 미국의 예일대학교 등은 비록 제일 크다 할 수는 없으나 가장 오랜 학교요, 또한 양국 사기(史記, 편집자 해석: 역사를 기록한 책)에 유명한 재상들과 세계에 드러난 정치 대가와 문장 학사며 현인군자와 교사, 도사며 각색 굉장한 사업주들이 다 이 학교들에서 많이 생긴 고로 각국에 유명하여, 유람하는 자 구경하지 못하면 불행히 여기며, 앉아 듣는 자 한번 보기를 원하더라.

이 집에 들어가면 옛 사람들의 공부하던 처소와 큰 사업을 시작하던 사적(事跡, 편집자 해석: 중요한 사건의 흔적)이 여전하여, 전일에 이런 사적을 보고 깊이 앙모(편집자 해석: 존경하면서 그리워하는 마음)하던 자 그 집에 들어가면, 완연히 그 사람을 본 듯하여 재삼 배회함을 깨닫지 못할지라. 청년 제자 되어 이런 집에 들어가 공부하는 자 그 복력이 또한 어떠타 하리오.

대개 사람의 일평생 한 되는 일은 젊어서 배우지 못함이고, 젊어서 한 되는 일은 빈한곤궁(貧寒困窮, 편집자 해석: 매우 가난하고 생활이 궁핍한 상태) 하여 공부할 계제 없음이라. 사람의 이름과 영화가 사업 중에서 생기며, 사업이 지혜 중에서 생기며, 지혜가 학문 중에서 생기나니, 학문이 사람에게 관계됨이 어떻게 긴중하뇨. 이 학문이 있기는 재주에만 있지 아니하고 근(勤, 편집자 해석: 부지런함)한 데 있나니, 근(勤) 있으면 빈한곤궁함이 능히 저희치 못할 것이오. 차차 재주가 늘어 둔함을 이길지라. 그러므로 각색 일에 근(勤)이 제일이고, 재주가 둘째거니와, 재주와 근(勤)이 구비하여 가지고도 능히 공부할만한 계제가 못 되어 마음껏 힘쓰지 못하며, 처지에 딸려 학문의 길을 잘못 들어, 평생을 자자히 보내되 점점 사곡(邪曲, 편집자 해석: 마음이나 행동이 바르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것)한 길로 들어가 한 가지도 성공한 것이 없어 일생을 허송하되 깨닫지 못하는 자들의 정경을 생각할진대 더욱 분한(憤恨, 편집자 해석: 억울하고 원통하며 분한 마음)함을 이기지 못할지라.

대한에 총명 지혜한 사람들을 볼진대 진실로 의사에 뛰어나는 자 많아서 서양 사람들도 항상 칭찬하며 애석히 여기는 바라. 이 인재를 모아 이상에 말한 대학교 같은 데 넣어서 실지상 학문을 교육할진대 우선 일이 년 일이 삭(편집자 해석: 달 또는 한 달을 뜻하는 고어 표현) 안에 수삼천명 중 이름이 낭자할지라. 명예가 원근(편집자 해석: 가까움과 멀다)에 파다할 것이고, 차차 사업상 학식이 늘면 명류 달인 되기를 옥스퍼드와 예일 대학교에서 생긴 이만 못지않을 것이거늘, 교육이 흥왕치 못하여 학문이 중한 줄을 모르는 고로 아까운 재주를 혹 허랑 방탕이 버리며, 혹 아흑(편집자 해석: 어리석다, 우매하다)한 길로 들어가 복술(편집자 해설: 점을 치는 행위나 방법. 주로 주술적 방법으로 미래를 예언하거나 운명을 점치는 행위) 상서(편집자 해석: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 “상서 지술”은 길한 징조를 점치는 술법) 지술(편집자 해석: 풍수지리설에 따라 묏자리나 집터의 길흉을 판단하는 술법) 등 글을 배우거나 혹 여간 글귀의 고서를 좋아하여 평생에 배운 갓으로 한 일은 없어 다만 즐거이 소견(消遣, 편집자 해석: 어떤 일이나 사물을 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하기를 위하여 세월을 허송하므로, 남이 물품 제조 화학 이치 등을 발명하여 놓은 것을 보면 곧 놀랍게 여겨 사람의 생각으로 못될 일인 줄 아나니, 어찌 애석하지 않으며 원통치 않으리오.

전에는 소의 문명이라 하는 것이 동양 몇 나라가 거의 다 같으므로, 문벌이 좀 부족하게 태어난 사람인즉 영웅준걸의 재략을 품고도 능히 그 범위를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하였으므로, 하늘이 특별히 품부한 인재가 다 아깝게 없어져서 국세가 인하여 이 모양이 되었거니어와, 지금 세상은 대단히 달라서 권세 가진 자 아무리 편색과 문벌을 찾고자 하여도 명분 구별하는 악습이 날로 없어질지라. 지금 정부에서 인재를 다 캐어 쓴다고는 못할 터이나 몇몇 미천하던 관원들을 볼진대 옛 풍속의 행할 수 없는 줄은 아무라도 깨달을지라. 이 세상에 난 자 우물고기로 바다에 남과 같으니, 어찌 넓은 것을 싫어하여 다시 실개천을 찾아 드리오.

자제들을 가르치지 못함은 부형의 책망이라, 자질 둔 이들은 마땅히 교육을 힘써 매가육장(賣家鬻莊, 편집자 해석: 집과 가지고 있는 논밭을 다 팔아 없앰)이라도 하여 공부시키는 말은 만리(편집자 해석: 아주 먼 거리) 장정(長程, 편집자 해석: 먼 길, 긴 여정)에 노자(路資, 편집자 해석: 여행이나 먼 길을 떠날 때 필요한 경비나 준비물) 주는 것이오. 소년 자제된 자 학식을 구하는 것이 만리 장천(長天, 편집자 해석: 끝없이 펼쳐진 하늘, 광활한 공간)에 날개 얻음 같은지라.

일본에 지금 중홍공신(中興功臣, 편집자 해석: 나라를 다시 일으키는 데 공을 세운 신하) 된 이들의 사적을 보면, 당초에 외국 유학을 원하여 혹 남의 고용인도 되며, 혹 의식을 남에게 부치고 서양에 가서 풍상(편집자 해석: 온갖 고생과 시련을 감수하며)을 무릅쓰고 공부한 사람들이라. 오늘 신고를 무릅쓰고 학식을 얻는 것이 자기의 일생 경영만 될 뿐 아니라 나라의 전정이 또한 이 한 가지에 있으니, 우리나라 소년 자제들을 위하여 권면(편집자 해석: 알아듣도록 권하고 격려하여 힘쓰게 함)하노라.

(다음 호는 8월21일 제 188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