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7월26일 토요일 제국신문 원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전염병 막을 의론)

인생 백 년 동안에 제일 두려운 것이 질병이요, 질병 중에 제일 두려운 것이 전염병이라. 강건한 육신이 일조에 병이 들면 영웅 준걸(편집자 해석: 젊고 유능한 지도자, 학문이나 예술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의 만사 경륜(편집자 해석: 원대한 계획,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한 포부)이 부운(浮雲, 편집자 해석: 덧없고 무상한 것, 잡히지 않는 꿈이나 허망한 이상)이 되고 말며, 한 곳에서 전염증이 생기면 편시간에 흩어져서 백인 천인이 삼 쓸듯 없어지나니, 일신의 염려와 일국의 염려와 천하의 큰 염려가 이보다 심한 것이 어디 있으리오. 마땅히 별반 도리가 있어 그 병근(病根, 편집자 해석: 질병의 근본 원인)을 캐어 막는 법을 마련할 것이거늘, 성인의 의약 내신 본의를 버려 병근을 구하지 않으며, 요사한 문복(問卜, 편집자 해석: 점쟁이에게 물어 운명을 점치는 것)에 혹한 바 되어 사람마다 믿기를, 무슨 귀신이 있어 병을 내고 없이한다 하며, 역질 괴질 등류가 천재(天災, 편집자 해석: 자연에서 발생하는 재앙이나 재해)나 신수(身數, 편집자 해석: 사람의 타고난 운명이나 팔자)라 하나니, 어찌 어리석지 않으리오.

당초에 두진(痘疹: 천연두의 겉 증세), 역질(疫疾: 천연두를 한방에서 일컫는 말)이 인도 지방에서 생겨 동서로 퍼져 전파하여 생령의 손상됨이 한이 없거늘, 동방에서는 오늘까지 두신(痘神, 편집자 해석: 천연두(두창)를 관장하는 신)이 있어 생사를 임의로 한다 하여 빌고 위함으로 살기를 구하며, 서방 사람들은 이 병이 열기에서 생겨 서로 전염하기를 마치 전기의 서로 이끄는 힘과 같다 하여, 우두(牛痘, 편집자 해석: 소에서 유래한 바이러스성 피부 질환으로, 천연두(두창)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의 기초가 된 질병)를 마련하여 사람의 몸에 있는 열기를 감하게 하여 근원을 다스리므로, 지금 서양 세계에서는 두질(痘疾, 편집자 해석: 두창(천연두)이라는 질병) 이름이 없고, 얼굴 얽은 자가 없는 바여서, 귀신을 공경하여 변한다는 의론은 보지 못하는 바라.

지금 우두법이 동양으로 벗어나오자 시험하여 본 자는 그 무한한 공효(편집자 해석: 공을 들인 보람이나 효과)를 알고 즐겨 스는 타이거늘, 어두운 사람들은 종시 고집하여 왈(曰): 사람의 생사가 팔자(八字) 운수(運數)라. 역질(疫疾)로 죽을지언정 조상부터 하던 것을 막으면 도리어 신벌(神罰, 편집자 해석: 신이 내리는 벌)이 있으리라 하니, 억색(臆塞: 몹시 원통해 가슴이 막힘)하여 할 말이 없도다. 설령 귀신이 있을지라도 몰아내어 목숨을 구할 도리가 있으면 할 것이거늘, 그 귀신에게 자손을 해마다 잃어도 섬겨야 한다 함은 죽기를 자취함이로다.

각색 전염병이 모두 위생 잘못하는 데서 생기나니, 옴 같은 종류는 누습한 데서 나며, 괴질 종류는 썩고 습한 데서 벌레가 생겨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으나 편시간(片時間, 편집자 해석: 짧은 시간 동안)에 수없이 번성하여 혹 공기에 싸여 날기도 하며, 혹 먹는 물에 섞여 흐르기도 하며, 혹 병인의 대소변과 코침에 섞여 바람에 날아 음식에 들어가는 데로 사람이 편시에 상하나니, 이러므로 각국에서 위생 제도에 극히 힘써 인민의 거처를 정결(淨潔) 조강(操强: 땅에 습기가 없어 흙이 보송보송하고 깨끗함)하게 하며, 수구(水口)를 깊이 하며, 버리는 물건을 한만히 섞이지 못하게 하여 악취와 습기가 없게 하며, 음식을 정히 간수하여 독물이 들지 못하게 하고, 물을 끓여 벌레가 죽게 하여 마시며, 검역 병원이 특별히 있어 각 항구에서 지키며, 선척(편집자 해석: 사람이나 짐을 싣고 물 위를 떠다니는 배)과 윤선(輪船, 편집자 해석: 수레바퀴 모양의 추진기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배)의 들어오는 것은 의원이 행인을 진맥한 후에 들이되 병이 있으면 당초에 풀지 못하게 하므로, 공법에 각국이 이 직책이 있어 의례히 준비하는 법이니, 이는 다만 본방 생민만 보호할 뿐 아니라 만국 인민을 다 같이 서로 위생함이라.

악질(편집자 해석: 심한 전염병)이 있을 때에 쥐가 그 병을 전하는 근인(根因, 편집자 해석: 그 병이 발생하게 된 핵심적인 원인)이 있다 하여 재작년에 일본에서 전국에 반포하고 쥐를 없이 하라 하여, 각처 순포막(편집자 해석: 지금의 파출소나 경찰 초소)에서 값을 주고 쥐를 사는데, 쥐 잡아 오는 자 한량(편집자 해석: 너무 많아 셀 수 없을 정도)이 없어서, 일 년에 이 날에 써서 없이한 나라 돈이 불소(편집자 해석: 돈이나 자원 등이 없어졌다)하였으며, 필리핀의 모든 섬에 퍼지는 병은 이와 모기 등 각색 물것이 전염하는 고로, 물건을 제거하는 방법에 진력하여 인력도 많이 허비하고 재정도 많이 쓴지라. 이렇듯 함으로 지금 서양 각국에는 이런 병이 들어가지 못하며, 혹 생겨도 퍼지지 못하고, 아세아와 아프리카 등 지방에서 종종 생겨 큰 화가 되는 바라.

자고로 난리와 흉년 뒤에 이런 대병이 행하나니, 이는 다름 아니라 흉년과 전쟁에 사람이 상하여 시신을 미처 거두지 못하므로, 각처에 널린 육체에서 썩고 상하여 독한 벌레가 나서 퍼지는 연고거늘, 이것은 모르고 화불단행(禍不單行, 편집자 해석: 나쁜 일이 한 번 생기면 또 다른 불행이 잇따라 생긴다)으로 면하지 못할 재앙이라 하나니, 어찌 그 본원을 막으리오. 마땅히 의학과 위생법을 궁구하여 각처 사람 사는 곳에 도로를 정결히 하며, 개천을 정히 치고, 오예지물(汚穢之物, 편집자 해석: 지저분하고 더러운 물건)을 한만히 버리지 말며, 우물을 높이 쌓아 장마 때에 더러운 물이 넘어 들어가지 못하게 하며, 길가와 문 앞에 어린아이 대소변 보는 것을 절금(切禁, 편집자 해석: 엄하게 금지함)하고, 측간(편집자 해석: 화장실)을 별도로 신칙하여 피차 정(淨, 편집자 해석: 깨끗하다)하도록 힘쓰면 외양에 보기도 좋고 외국인의 수모도 면하겠고 인민의 피차 위생이 될 터이니, 어찌 소홀히 하리오.

대개 세상은 내 몸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니, 나의 편함을 취하여 남의 해를 돌아보지 않거나, 나의 게으름을 인연하여 남과 같이 좋은 일을 아니 하는 자는 도리도 아니거니와, 국법에 마땅히 지켜 하게 할 일이라.

근자 청국 지방에 병이 생긴다 하니 접경한 각처에 큰 염려라. 특별히 황칙(皇勅, 편집자 해석: 중국 황제의 명령)이 내리시어 금역원(禁疫院, 편집자 해석: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설치된 공공기관)을 설시하라 하셨다 하니, 만민이 감(感, 편집자 해석: 모든 백성이 느끼는 감동이나 고마움이 끝이 없다)은 무궁하며, 외국인이 더욱 칭송할지라. 속속히 실시되어 내외국인의 대화(大禍, 편집자 해석: 전염병, 사회적 혼란, 위생 문제 등 공공의 위험)를 방비함을 바라는 바라.

만일 이 일을 전적으로 대한(大韓) 관원에게만 맡겨두면 사무에도 정밀치 못할 염려가 있거니와, 당장 월급자리 늘리는 것을 기회로 알아 사사(편집자 해석: 공무를 빌미로 사적인 경영이나 이득을 챙기려는 행위) 경영이나 만들지라. 년 전에 제중원(濟衆院, 편집자 해석: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을 설시하고 학도를 교육하며 병인을 치료하게 마련하자. 얼마 안에 주사(편집자 해석: 조선 말기~대한제국 시기의 관직의 한 계급이며 오늘날 6급 공무원)가 사십여 명이라. 외국인들이 지금까지 웃기를 마지아니하며, 심지어 말하기를, 무슨 사업을 하자면 대한 관원의 장악에 맡겨 가지고는 못되리라 하는지라. 겸하여 금역(禁疫, 편집자 해석: 전염병을 금지하고 방역하는 행위 또는 제도)하는 일은 외국 선척에 관계되는 것이니, 고명한 외국인에게 맡겨 사무를 주관케 하는 것이 좋을 듯하도다.

(다음 호는 8월16일 제174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