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7월21일 월요일 제국신문 원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아. 법. 덕 악조의 설명)

주한 아(俄, 편집자 해석: 러시아) 법(法, 편집자 해석: 프랑스) 덕(德, 편집자 해석: 독일) 삼국 공사가 새로 정한 약조는 잡보(편집자 해석: 잡다한 기록이나 보도)에서 보았으려니와, 대개 약조 종류에는 두 가지 등분이 있으니, 맹약(盟約, 편집자 해석: 서로 맹세하여 맺은 약속)이고 조약(條約, 편집자해석: 국회의 비준 동의가 피룡한 경우가 많고, 정치적·외교적 기본 관계나 지위)이라.

맹약(盟約)은 두 나라나 혹 몇 나라가 맹서하여 전쟁에 나아가는 길이라도 서로 주선하자 함이고, 조약(條約)은 서로 정의상으로 연합하여 화평한 중에서 서로 주선하자 함이니, 두 가지의 뜻이 대단히 같지 아니하냐, 정의와 세력을 특별히 합하여 경영하는 바를 도모하자 함은 일반이라.

일영(日英, 편집자 해석: 일본과 영국) 동맹은 동양 전면에 화평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한 것이나, 부득이 전쟁이 되는 날은 서로 연합하자 하는 뜻이 있으니, 이는 맹약이고, 아 법 덕 삼국의 이번 약조라 함은 오로지 대한에서 이익 권리 얻기를 위함이니 이는 조약(條約)ㅇㅇㅣ다.

이 다섯 나라 형편으로 그 약조의 성질을 의론할진대, 지금 천하 안위가 전혀 영(英) 아(俄) 양국에 달렸는데, 구라파 각국은 다 위험한 형편을 먼저 깨닫고 각기 제 권리를 굳게 하여 아라사가 접촉할 곳이 없게 하므로 영(英) 아(俄)에 다투는 형세가 아세아에 있는지라.

아세아 지형을 볼진대, 영국은 멀고 아라사는 가까운 고로, 자세히 알지 못하는 자들이 의론인즉, 영국에 주의함이 아국만 못하리라 하나, 실상인즉, 영국의 상권이 아세아에 제일 많으며, 겸하여 아세아에 아국 권세가 확장되는 날은 영국의 형세가 기울어지는 날이니, 지금 양국이 저울대 다투듯 하는 형세가 한번 기울어지면 장차 영국에 위태할 염려가 없지 않은지라. 그런즉 영국의 주의함이 아라사보다 더할 터이나, 영국의 뜻은 상업을 확장함이 곧 권세자라는 것인 고로 토지를 취하는 데 있지 아니하고 아라사의 형세를 막아 상권을 넓히는 데 있으니, 아라사는 다른 이익이 없고 다만 토지 관할하는 권리에만 있는 고로 혹 불고(不顧, 편집자 해석: 무시하거나 고려하지 않다)체면 할 염려가 없지 아니한데, 동양에서는 다만 일본이 알고 막기를 갈력하여 심지어 전쟁까지 예비하므로, 불언증 주의가 영국가 같을 뿐더러, 일본에 권세가 자라는 것이 아라사의 싫어하는 바이고, 영국은 오히려 낫게 여기리니, 이는 아라사가 영국의 적수인고로, 적수에 자람은 당연히 싫어하려니와, 일본은 영국의 하수(下手, 편집자 해석: 주도권이 없는 쪽)인고로, 하수의 자라는 것이 관계치 않을 뿐이라.

또한 아라사가 만일 동양에서 토지를 점령하면 그곳은 영국의 상권이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기왕 있던 권세도 밀려날 것이고, 만일 일본이 토지를 차지하면 아라사의 병권은 한 걸음 물러갈 것이고, 만일 일본이 토지를 차지하면 아라사의 병권은 한 걸음 물러갈 것이고 영국의 상권을 더 늘어날 것이니, 이러므로 영일의 관계는 자연한 성질로 맺혀 됨이라. 두 나라 중에 하나라도 손해될 일은 곧 각기 자기 일로 알게 형편이 되었은즉, 그 동맹에 약조한 사연과 같이, 오년 안에 무슨 일이 있으면 함께 주선할 뿐 아니라, 오년 후에라도 이 형편이 크게 변하기 전에는 서로 끌려 다닐지라.

만일 한(韓) 청(淸) 양국이 각기 이 형편을 깨달아 동양을 유지코자 할진대, 일본이 구태여 먼 영국과 연맹하였을는지도 모르겠거니와, 당연히 한 청 양국과 연맹하여 멀리 영국과 은연중 상응하였을 것이니, 하늘 밑에 누가 엿보며, 한 청의 권리를 누가 감히 털끝만치라도 건드리리오. 일본도 또한 삼국을 보호하기만 뜻할지라 다른 뜻이 생기지 못할 것이거늘, 종시 깨닫지 못하여 옷을 벗고 호구(虎口, 편집자 해석: 깨닫지 못한 채 스스로 위험에 뛰어드는 어리석음)로 들어가며 생문방(生門方, 편집자 해석: 이곳이 생존의 길이 있는 방향)이 여기 있다고 하는 고로, 세상 형편이 변하여 억지로라도 사지를 벗겨내어 주려 하나니, 이것은 그 사지에 들어가는 자를 불쌍히 여길 뿐 아니라, 그 호랑이가 사람을 먹으면 기운이 자라서 사람을 또 상하려 할 터인 고로 곧 자기네 일로 알고 벗겨 내려 하나, 사의(辭意, 편집자 해석: 맡고 있던 직책이나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것)로 가르쳐서는 종시 아니 들은즉, 불가불 억지로 하는 수밖에 없는바, 만일 영국이 나서서 대신 끌어내려 하면 아라사가 그저 있지 않을 터인즉, 영국은 상관치 아니하고 따로 앉아 일본으로 대신 행하게 하고, 만일 아라사가 일을 시비하려거든 영국이 탄하여 왈(曰): 일본은 한국(韓)의 이웃이니 나서서 붙들려 함은 당연하거니와 우리는 멀리 있어 상관할 까닭이 없다 할지니, 아라사가 영국의 말을 듣고 물러가면 일본이 혼자 상관할 것이오, 만일 아라사가 물고 놓은 고기를 놓고 가지 않을진대 영국은 반드시 힘으로라도 대적할지니, 두 범이 싸우는 사이에서 일은 시세를 맞추어 경영을 행할지라.

그 승패득실을 미리 알 수 없으나, 좌우간 형편이 이렇게 된즉 일본의 뜻은 자연 전과 달라서 이런 중에서 이익을 도모할 생각이 날 테니, 일본의 이익은 곧 나의 손해라, 이러므로 아라사의 관계가 더욱 중하여, 이 형세를 반대될 만치 협력함을 경영하여 법(法) 덕(德)과 약조함이라. 아 · 법 · 덕 약조의 성질은 미완이로라.

(다음 호는 8월11일 제164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