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7월19일 토요일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상업으로 나라를 부강케 하는 법(연속))
작일 논설에 상업 흥왕 하는 것이 지금 세상에 긴중한 관계를 말하였거니와, 우리나라에서도 재상들이 벼슬 내어놓는 날은 장사도 하며, 장사도 학식(學識, 편집자 해석: 지혜롭고 통찰력 있는 사람)과 재주(才ㅡ)만 넉넉하면 벼슬하는 것을 마땅한 일로 여겨, 도덕과 재리가 합하여 발달되기를 원하노니, 상민 된 이들이 그 일의 긴급함과 직책의 큰 것을 알아, 그 상업이 다만 자기의 사사 사업뿐이 아니라 곧 나라 부강의 근본이 됨을 알아, 장사를 아무쪼록 외국인의 재물을 거두어들이는 법으로 생각하며, 외국인에게 잃은 상업 권리를 내게로 다시 돌아오도록 힘쓸진대, 이것이 곧 흥왕할 근본이니, 만리 장정(萬里長程, 편집자 해석: 아주 먼 길을 떠나는 긴 여정)에 첫 걸음이라.
근자에 일본 고베 크로니클이라 하는 신문에 본즉, 하였으되, 한국의 유지한 이들이 회사를 조직하여 자본을 모아 가지고 권연회사(券煙會社, 편집자 해석: 담배를 제조하거나 유통하는 회사, 담배회사)를 설시하여 엽초 잎으로 권연을 말았는데, 맛과 모양과 제작이 여송연(呂宋煙, 편집자 해석: 씹지 않고 통째로 말아 만든 담배, 시가와 유사한 형태)과 흡사한지라, 지금 새로 만드는 것이로되 수요가 있어 사먹는 자 많으니, 차차 진보하여 더 잘 만들고 더 싸게 팔아 이름이 나면 일본 권연회사에서 큰 권리를 빼앗길지라. 본토에서 담배를 심어 많이 내면 외국에서 실어 들이는 선태(船台, 편집자 해석: 일반적인 의미인 선박 건조용 구조물이 아니라, 비유적 표현으로 권연초 또는 담배 제품)가 한이 없을 터이니, 일본 권연회사에서 아무리 싸게 팔고자 하여도 대적할 수 없을 것이오, 차차 흥왕하여 외국으로 수출하면 일본 각 권연회사에서도 손해 당할 염려가 있다 하므로, 내가 이것을 보다가 반가운 마음이 비할 데 없어 헤아리되, 우리나라 사람의 재주가 이렇듯 정미하거늘, 사람마다 하려는 마음이 없어 교육을 못 힘쓰니 장차 어찌하면 좋으리오, 하다가 급기 그 아래를 본즉 하였으되, 그러나 그 회사 전주(錢主, 편집자 해석: 상인에게 자금을 대주는 후원자)들이 상업에 깊은 지식이 없어서 장구한 경영을 못하고 당장 이를 보려 하므로, 불구에 그 회사가 철파(撤罷, 편집자 해석: 기존의 정책, 조직, 제도 등을 폐지하거나 철회하는 것)되리라 하였는지라, 이것을 보고 다시 탄식함을 마지 않았노라.
외국인이 사업 기초 잡는 법은, 위선 장사로 보아도, 당장에 이(利) 남기는 것이 장사가 아니라, 당장은 해를 보더라도, 몇 십 년까지라도 예산을 미리 차려 가지고 남보다 물건을 낫게 만들며, 돈은 적게 받아도 오래만 지탱하여 가면, 그 상표가 이름이 나서 사람마다 그것을 찾는 고로, 남이 필경 장사 권리를 빼앗기고 물러가나니, 그 물건이 널리 팔린즉 자연 이(利)가 크고 장원(長遠, 편집자 해석: 오래 지속되거나 먼 미래까지 이어지는 상태)하여 그 회사 상표만 팔아 몇 갑절 이가 되나니, 이것이 장사에 먼저 주의하는 바이거늘,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직 이에까지 미치지 못하니, 어서 가르치기도 하려니와 배우기도 시각이 급하도다.
지금 대한에 상업이 발달치 못하여 서양 사람들은 당초에 장사할 것이 없다 하는 바이거니와, 항구가 점점 열리며, 철로가 차차 통하는 대로 외국 상업은 해마다 늘어나 터인즉,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 자본을 아니 가지고 큰 상업을 경영하기 어려운지라. 외국인의 장사하는 법이 다 제 자본으로 혼자 하는 것이 드물고 항상 자본 가진 이가 맡겨서 주관(主管, 편집자 해석: 어떤 일이나 업무를 책임지고 관리하는 것)도 시키며, 외국에 앉은 사람과 약조하고 그곳 물가를 보아 기별하는 대로 물건을 대어주어, 큰 상점도 되며 혹 큰 지점도 되나니, 피차에 그 이익이 어떠하리오. 지금 외국에 자본 가진 자들이 대한 상업이 장차 흥성할 줄을 미리 알고, 대한 사람의 이런 일 의론할 만한 사람을 얻고자 아니함이 아니로되, 외국인들이 알기를, 대한 사람 중에 상민은 더욱 신의가 없어서 남을 속이기로 장기를 삼으므로 그 사람들과는 당초에 아무 경영도 마는 것이 옳다 하여, 신(信) 있고 없음을 묻고자 아니하니, 피차 무슨 이익을 도모하리요.
마땅히 신의로 주장삼아 위선 매매에 제반 악습을 차차 고쳐가며, 내외국 신의로 주장삼아 위선 물건 매매에 제반 악습을 차차 고쳐 가며, 내외국 장사 형편을 살펴 배포(排布, 편집자 해석: 문서, 자료, 제품 등을 여러 사람이나 장소에 나누어 주거나 전달하는 행위)를 차리며, 외국인들에 점잖고 자본 있는 이들을 신의로 상종하여 차차 이름이 나면 자연 전주가 찾아와서 푼전척리(ㅡ錢ㅡ利, 편집자 해석: 소소한 이익에 집착하거나, 지나치게 계산적인 태도)가 없어도 부상대고(富商大賈, 편집자 해석: 자본력이 크고 영향력 있는 상인)가 되지 말라는 법 없으니, 범사가 내게 있는지라. 나면서 새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오.
물건 제조하는 것도 외국 물품을 모본하여 대한 사람에게도 팔며, 외국인에게도 발매하여, 남과 권리 다툴 줄을 먼저 알아야 될지라. 근자에 어떤 미국 사람 하나가 금전 오십만 원을 내어놓고 광고하되, 천하 각국에 경기구를 쓰지 말고 다른 기계를 만들어 타고 공중에 올라가 전쟁에 쓰게 하는 자 있으면 상품을 주겠노라 하므로, 각국의 이학가(理學家, 편집자 해석: 과학자 또는 이공계 학자)에서 궁리하는 자 무수한진라. 우리나라 사람들도 이런 큰 도리에 경영이 있을진대, 무당 소경을 버리고 차차 실지 있는 학문을 공부할지니, 이런 일은 생각도 할 수 없다 함은 스스로 재주를 버림이라.
이상 몇 가지에 뜻을 배양하여 큰 이익을 도모할진대 흥왕 발달에 기초가 될 듯하오.
(다음 호는 8월7일 제5권 제163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