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7월12일 토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옥정군 급)

감옥서가 서소문 안 전 전환국에서 지나간 삼월에 종로 전 감옥터에 새로 지은 벽돌 양제 집으로 이사하여, 거처와 범절(편집자 해석: 법도에 맞는 모든 질서나 절차)이 전보다 매우 낫고, 죄수의 정경이 또한 적이 낫다 함은 기왕에도 들리는 대로 기록하였거니와, 감옥 정사가 국정에 관계됨이 지극히 커서 심상히 보지 못할 줄이, 첫째 백성의 생명 재산을 이것으로 보호하며, 둘째 법률의 밝고 어두운 것이 여기 달렸으며, 셋째 국전 인민의 편하고 위태함이 또한 이에 달림이라.
만일 옥정이 밝지 못하여 협잡(狹雜, 편집자 해석: 옳지 아니한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행위) 농법(弄法, 편집자 해석: 농사를 짓는 방법)으로 능히 기강을 세우지 못하면 악민(惡民, 편집자 해석: 법과 질서를 어기거나 사회에 해를 끼치는 사람들)을 무엇으로 징계하며, 양민을 어찌 보호하겠으며, 만일 압제 위협과 법외에 형벌로 세력 있는 이들의 장악에 농락하는바 될진대 법률이 어찌 밝아지겠으며, 감옥이 더럽고 누추하여 위생에 크게 손해될진대, 설령 법률이 공평하기로 어찌 외국이 그 백성을 그 속에 갇히게 하고자 하리요.
제도를 다 위생에 합당케 만들어 개명한 사람이라도 들어와 갇혀라 하기가 부끄럽지 않을 만하여야, 차차 법률 공평히 되어가는 대로 외국인을 다스리는 권리가 속히 돌아올 것이오. 그 속이 굴속이나 지옥 같아서 들어가는 자가 견딜 수 없게 될진대 어찌 인의지도(仁義之道, 편집자 해석: 사람답게 살아가기 위한 도덕적 원칙과 삶의 자세)에 합당타 하며, 설혹 지금은 그 안에 갇힌 사람만 죄수라 하나, 사람마다 성인이 아니거든 대소 죄 간에 범하지 않는 자 몇이나 되겠소. 점잖은 관인이라도 대소 죄 간에 범하는 날은 곧 거기 들어가는 날이니, 이 어찌 남의 심상한 일로 여기리오. 그러므로 우리가 옥정(獄情, 편집자 해석: 형사 사건의 내막)이 이만치 진보해감을 기뻐 여기며, 일번으로 어서 더 밝아져서, 우리도 일본 같이 순검을 보내어 범법하는 외국인을 잡아다가, 대한 백성들과 동등으로 가두어, 대한 법률로 공평히 다스림을 받는 것을 우리 눈으로 구경하기를 고대하는 바라.

근일에 다시 들은 즉, 옥정이 심히 군박(窘迫, 편집자 해석: 몹시 구차하고 군색한 상태)하여 일시가 민망한 사정이 있으니, 이는 곧 집은 적고 죄수는 많음이라. 이 고열(高熱, 편집자 해석: 몸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로 감염, 염증, 면역 반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을 당하여 공기 흩어진 도로 상에서도 사람이 기꺼이 앉아 호흡을 상통하면 병이 난다 하거늘, 옥중은 그렇지 못하여 여염가(閭閻家, 편집자 해석: 평범한 사람들이 사는 집, 즉 서민의 가정) 적은 이간통 반짝 만한 간 속에 사람이 눕지 못하고, 심지어 덧 입혀 지내는 자 많으며, 문 앞을 가면 한증기운이 쩌 오르므로 앉은 사람이 모두 주야로 한증 속에 앉은 모양이라.
밤에는 번차례로 앉아 쉬는 곳이 많으므로 감옥 서장이 매일 한번씩 문을 열어주어 나와서 바람을 쏘이게 하므로 얼마 나으나, 종시 견딜 수 없어 죄수들이 혹은 왈(曰, 편집자 해석: 말하다); 칼을 씌우고 차꼬(편집자 해석: 죄수를 가두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던 형벌 도구)를 채워 마당에 두면 좋겠다고 하는 자도 있고, 혹은 왈(曰); 차라리 대포를 맞아 다 죽을지언정 이것은 견딜 수 없다 하여 혹 부르짖으며 우는 자도 있고, 혹 옥관(獄官, 편집자 해석: 감옥이나 형벌 관련 업무를 맡은 관직자)을 보고 살려 달라 애걸하나, 서장이 또한 무슨 수로 변통하리요 하니, 이 말이 비록 심한 듯하나, 삼월에 이사한 후로 불과 육십여 일 동안에 이 미걸 통합하여 자고(自苦, 편집자 해석: 스스로 괴로워함)한 죄수가 합 이십여 인이라, 어찌 참혹하지 않으리오.
년래로 감옥서 죄수가 합 삼백여 명을 넘어본 적이 없었거늘, 근일에 죄수가 더욱 늘어 지금 시수(時囚, 편집자 해석: 일시적으로 구금된 사람)가 삼백오십 명에 이른지라. 별로 결처(決處, 편집자 해석: 죄인에 대한 형벌을 집행하던 일)는 많지 못하고 날로 갇히는 사람만 느니 장차 어찌 될는지. 만일 이대로 삼하(三夏, 편집자 해석: 세 달 동안의 여름, 즉 음력 4월, 5월, 6월)를 지내다가는 불쌍한 목숨이 많이 상할지라. 호생지덕(好生之德, 편집자 해석: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지도자의 덕성)에 손해가 어떠하며, 정체 상에 령오(令悟, 편집자의 해석: 사물의 이치나 진리를 깨달아 이해함)가 가득하다는 말에 수치가 어디까지 미치리오. 혹 그 집이 적어서 그렇다 할 듯하나, 설혹 수백 간을 지은들 결처는 적고 잡혀드는 자는 많을진대 또한 몇 달 지나서 또 가득하다 하리오.
지금 그 집이라도 날마다 결처를 많이 하며, 죄에 경중과 마음에 회개하고 아니함을 살펴 사전에 많이 넣어 돌아가 양민이 되기를 권하면, 위선 어진 정사가 드러날 것이오, 죽을 목숨이 불소(不少, 편집자 해석: 적지 않다, 즉 꽤 많다)히 살 터이니, 그 인덕이 어떻다 하리오. 법관 되신 이들이 속한 변통하여 여러 인명 구제하기를 눈 씻고 바라는 바로라.

(다음 호는 8월4일 제5권 제161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