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6월18일 수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교사 참상)
지나간 십일일 오후 열한 시 이십 분 즈음에, 전라도 청도 근처에서 화륜선 목증(木曾)천환(편집자 해석: 화륜선은 증기선, 목증천환은 증기선 이름)과 구마(九馬)천환(편집자 해석: 구마천환-증기선 이름)이 서로 마주쳐, 구마천환이 상하여 불행히 파선하자 그 배 안에 있던 사람 중에 천행으로 살아난 자 오십 인이고, 종적 모르는 사람이 십팔 인인데, 그 중에 대한 사람이 십사 명이고, 미국인이 하나요, 일인이 셋이라. 선인 팔 명과 목증천환에 올랐던 사람 하나와 한인 한 명이 빠져 죽었으며, 실었던 물건은 몰수이 잃었다더라.
이날 해중(海中, 편집자 해석: 바다 한가운데)에 안개가 끼어 지척(咫尺, 편집자 해석: 매우 가까운 거리, 눈앞의 거리) 불문하는 고로 목중천환이 사방으로 뒤지다가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더라. 이 불행한 사람 중에 미국인은 곧 정동 배재학당 총교사 아펜젤러 씨라. 그 동행하였던 조환규 씨와 함께 빠졌으니, 아펜 씨의 참사한 소문을 듣고 경향 간에 놀라며 슬퍼하는 자 응당 무수할러라.
씨의 전후 사적은 거의 짐작하는 바이거니와, 수십 년 전에 대한에 나오니, 이때는 대한 사람들이 심목고준(深目高準, 편집자 해석: 용모가 준수한 남성)한 사람들과 잡담도 잘 아니할 때라. 간신히 우접(憂接, 편집자 해석: 남의 집이나 타향에서 임시로 몸을 부쳐 사는 것)하여 듣도 보도 못하던 학문을 가르쳐, 서양 각국이 어떠하며, 개명 세상이 어떠한지 알게 하고자 하나, 사람의 이목(耳目, 편집자 해석: 귀와 눈)과 심장을 변화시킨다는 요언(謠言, 편집자 해석: 근거 없이 떠도는 소문)이 성풍(成風, 편집자 해석: 어떤 현상이나 풍조가 널리 퍼져 하나의 사회적 분위기나 유행처럼 된 것)하여 가까이 가는 자 없는지라. 간신히 몇 사람을 얻어 교육하며 의식 범백(凡百, 편집자의 해석: 각종, 온갖, 여러 가지)을 주어 의탁하게 하매, 차차 입학하는 자 여럿이러니, 갑오년에 이르러 우리 정부에서 약조하고 보조금을 달마다 내리므로 입학하는 자 무수하여, 유명한 선비들이며 재상 자질들이 많이 모여 경향에 불원천리(편집자 해석: 먼 길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온 정성스러운 마음)하고 오는 자 날로 성하여서 학도가 삼백여 명에 이른지라. 이 중에서 학식이 날로 늘어 성취하여 나간 사람도 많거니와, 가장 유공한 것은 개명 세계에서 교육상 제일 긴요히 여기는 토론회 조직하는 법이 여기서 먼저 생겨 학도 중에 아는 자 많으니, 차차 인민의 지식이 열리는 대로 다 실효가 있을 것이라.
여기서 대한 사람의 신문(新問)이 먼저 생겨, 본 신문이 오늘까지 지탱하므로 부지 중 효험도 적다 할 수 없을지라. 비록 아펜 씨가 시키거나 주선하여 된 것은 아니나, 개명주의와 학식을 가져다가 우리의 전일 어둡던 것을 열어준 연고로 이만치 성취되어, 그 중에서 교육받은 자는 나라의 독립권을 보호하는 것이 다만 정부의 직책일 뿐 아니라 백성이 각기 담당할 의무로 여기며, 나라와 백성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는 것을 영광으로 아는 충애의 열심이 생겨 위태함을 무릅쓰고 나아가려 하며, 아무리 어려운 때라도 백성이 하려 하면 되는 줄을 알아 기어이 힘써 보려는 자가 차차 생기므로, 자연 다른 학교와 달라서 국세의 위태함을 염려도 하며, 탐관오리의 악함을 논핵하려고도 하므로, 부득이 정부의 싫어하는 바 된지라. 씨가 고괴(古怪, 편집자 해석: 예스럽고 괴이하다. 즉 옛스러우면서도 기이한 느낌을 주는 것)치 않고 대한 청년들을 충애로 인도하여 원근 간에 의리상 친구로 믿는 자 허다하였도다.
직책이 선교사가 된 고로 자초로 낙선애민(樂善愛民, 편집자의 해석: 선을 즐기고 백성을 사랑한다. 즉, 덕이 있는 지도자나 공직자의 바람직한 자세)하는 뜻을 맡아 경향에 출몰하여 교화로 감동시키기와, 사람 구제하기로 평생을 종사하였으므로, 귀한 고초도 많이 겪고, 입에 맞지 않는 조선 음식도 거의 못 먹을 것이 없으며, 동리에서라도 죽게 된 사람이 있으면 모르는 자라도 어두울 때에 친히 나무를 지고 쌀을 메고 가서 구제하며, 병든 이와 환란 당한 자를 힘대로 구호하며 위로하여, 공동(共同, 편집자의 해석: 둘 이상의 사람이나 단체가 함께 일을 하거나, 같은 자격으로 관계를 맺는 것)한 은인으로 여기는 자 또한 무수하더라.
총히 말할진대, 대한 사람의 구제를 위하여 평생을 허비한 사람이라 그 공효가 적지 않으니, 지금은 비록 그 공로를 모르기도 하고 혹 불합하게 여길 자도 없지 않으려니와, 국민이 차차 열리는 날은 효력을 널리 깨달을지라. 지금도 각처에 슬퍼하는 자 불소(不少, 편집자의 해석: 적지 않다. 꽤 있다)하니, 만리타국에 와서 이렇듯 하기 실로 어려운 일이라.
사람이 다만 사사 이해만 알고 공변된 이익을 모르면 사람값에 갈 것이 없다 하거니와, 다시는 저희를 위하여 일하여 줄 사람이 없는 법이라. 만일 공변된 이익을 알고 그 공변된 은인을 극히 받들어 영광을 세상에 드러낼진대, 그 백성을 위하여 죽기까지라도 힘쓰기를 아끼지 않을지라. 그런즉 이런 유공한 교사의 공로를 포장(褒奬, 편집자 해석: 칭찬하여 장려함, 공로를 인정하여 상을 줌)하지 못하면 우리를 위하여 일하는 자들의 마음을 권장할 수도 없고, 또한 외국인들이 우리를 공변된 은공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라 할지라. 마땅히 우리의 감격하게 여기는 뜻을 표하는 것이 옳을지라.
각국에 이런 풍속이 있나니, 우리는 생각건대, 각 교회 중이나 학교에 선생 학도 중에서나 유명한 이들이 발기하여 몇몇 대관네 이하로 경향 동지인들에게 연조를 청하여, 드러난 곳에 영원 기념비를 세워 그 사업을 들어낼진대, 다만 그 사람에게만 영광일 뿐 아니라, 내외국인민으로 재물을 허비하고 기력을 다하여 우리를 위하는 자들에게 위로가 되겠고, 또한 권면이 많이 될 터이니, 유지하신 이들은 널리 의론들 하기를 발론하노라.
(다음 호는 7월31일 제5권 제153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