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6월9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생각하는 법)
나폴레옹(Napoleon Bonaparte: 1769~1821)은 백 년 전에 세계에 유명한 영웅이다. 지금은 우리나라 사람들도 듣고 아는 자 많으려니와, 당초에 한미한(편집자 해석: 가난하고 신분이나 사회적 지위가 변변하지 못한 상태) 병졸로 세상 요란할 때를 당하여, 사면에 난리를 평정하고, 공업(功業, 편집자 해석: 공로와 업적)이 높으매, 팔 년 동안 불란서의 황제가 되어 구라파 온 천지를 흔들어 놓고, 각국 제왕을 자기 자서제질(子壻第姪, 편집자 해석: 자기 집안 사람)로 내고 폐하기를 임의로 하므로, 당세에 백성들이 천신 같이 여겨, 심지어 어린아이가 울다가도 나폴레옹이 온다 하면 감히 울지 못하였다는 말이 있었는지라. 평생 사적을 보면, 위력으로 세상을 번복코자 하여 장부가 세상에 못할 일이 없다고 하였는데, 병법도 무략(武略, 편집자 해석: 전쟁의 이론과 실제 전략 모두 정통한)의 대가요, 법제를 만든 것이 또한 유명하여 정치의 대가라 하나니, 각국 남녀노소에 그 이름 모르는 사람이 없는지라. 그 평생 사적이 신문 잡지 등에 향상 드러나는 바이더라.
어떤 친구가 나폴레옹을 대하여 그 지혜 용맹의 근인(根因, 편집자의 해석: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원인)을 물은데, 답왈(曰); 나를 세상 사람들이 혹 영웅호걸의 천품을 타고 낫다고도 하며, 운수를 잘 만나 그렇다고도 하여, 다 인력으로 되지 못할 줄로 알아 그러하되, 실상은 항용(恒用, 편집자 해석: 보통 언제나 그렇듯이) 범인과 다를 것이 없는지라, 본래 기질의 청탁은 혹 타인과 좀 다를 듯하나, 총명 지혜는 다 같이 타고났으니 별로 다를 것이 없건마는, 다만 한 가지 연고가 있으니, 이는 생각하는 법이라. 나의 평생에 신기하고 굉장하다는 사적이 다 생각하는 데서 나온 것이니, 밥 먹을 때에나 공부할 때에나 각색 일 할 때에 생각 아니 할 적이 없어, 자다가 밤중에 몇 번씩 일어나는 것이 생각에 미쳐 그러함이라. 다른 연고는 없노라 하였다더라.
이것을 볼진대, 사람의 지혜 구멍이 다른 물건과 자별하여, 생각을 아니하고 폐하여 두면 기계 버려둔 것 같아서 날마다 녹이 슬어 쓰지 못하게 되는 것이오, 생각을 많이 하면 더할수록 더 늘어, 혹 영웅호걸의 사업도 성공하고, 혹 화륜 전선 등 기계도 발명하나니, 이 생각이 깊이 들어갈수록 남이 생각하기 어려운 곳에 미치나니, 사람의 일평생에 대소사를 다 먼저 생각이 있어 예산을 마련하여야 그 일이 낭패가 적을지라.
만일 난대로 자라서 되는 대로 살다가 죽는 것이 세상에 제일 장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이야 당초에 낫게 되자는 바람이 없으니 무슨 생각이 있으며, 생각이 없으니 무슨 경영이 있으리오. 다만 목하에 한두푼 이익이나 보고 알기 쉬운 고로 탐하여 전후좌우를 불고하고 함정이라도 들어가다가, 필경 자기도 해롭고 남에게도 해가 미치나니, 어찌 지혜를 의론하리요.
그러나 생각하는 것이 또한 법이 있나니, 만일 법 없이 잘못 생각하다가는 도리어 생각 아니 하느니만 못하기 쉬운 법이라. 생각의 대강 본의가 항상 어질고 공평함을 잊지 말아야 하나니, 벼슬하기를 도모하는 자 어진 마음을 잊어버리고 벼슬하는 것만 재주로 여기는 고로 허무한 도록(편집자 해석: 그림이나 사진을 중심으로 내용을 엮은 책이나 목록)을 꾸며 고발을 행하며, 장사하여 부자 되기를 경영할 때에 공평함을 잊어버리는 고로 물건을 위조하며 값을 에누리하여 당장 몇 푼의 이(利, 편집자의 해석: 이익)를 도모함이라.
진실로 공평한 마음으로 장사를 하려 할진대 먼저 학문(學問)을 배워 장사하는 이치를 알아가지고, 아무쪼록 새 법을 궁구하여 물건을 남보다 낫게 짓고, 값을 남보다 적게 받아, 남도 이롭고 나도 이롭기를 경영하는 고로, 외국 상고(商賈, 편집자의 해석: 상인, 장사하는 사람)들은 당초 적은 자본을 가지고 시작하여 그 상권이 얼마 안에 자라서 각국에 널리 퍼지는 자 많으며, 우리나라 상민은 자본을 많이 가지고 시작하여도 얼마 안에 거판(擧板, 편집자의 해석: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내용을 알리기 위해 판을 들어 보이는 행위)하는 자 많은 것이다.
벼슬하려는 자로 말하면, 어진 마음을 잊지 않고 경영하는 고로 우선 정치학을 졸업하여 백성을 수화(水火, 편집자의 해석: 극심한 재난이나 위험)에서 건지며, 나라를 흥왕하게 만들 도리를 궁리하며, 남모르는 학식을 품어 가지고 그 지식으로 인연하여 지위를 얻고자 하는 고로, 당초에 남을 해롭게 하여 가지고 벼슬하자는 생각은 나지 아니하고, 세상이 그 이익을 다 누리나니, 이러므로 범백(편집자의 해석: 여러 가지) 일이 어질고 공평한 마음을 잊지 않고 많이 생각하는 자는 그 이익이 또한 널리 미쳐 생각나는 대로 널리 하매, 이런 생각은 참이롭다 하려니와, 그렇지 못하면 주야 생각이 남을 속이거나 얽어 넣어서 이롭고자 하나니, 그 생각은 깊이 들어갈수록 해가 커질지라.
지금 우리나라 관민 간에 세상이 무엇인지 모르고 일신이 생겨난것만 장히 여기는 자들은, 당초에 생각이 무엇인지도 모르려니와, 조금이라도 영위(營爲, 편집자 해석: 삶이나 생업을 경영하고 지속해 나가는 행위)가 있는 사람은 대소 간에 생각이 없지 않을지라. 부디 공평과 인애를 잊지 말아 생각할 때마다 비교하여, 조금이라도 불미한 것이 있거든 곧 버리고 달리 생각하여, 학식과 지혜를 넓혀 바른 도(道)로 인도하여, 무엇을 하든지 범연히 넘기지 말고, 주야 생각함으로 지식을 늘려 지혜를 얻어 가지고, 사업을 많이들 하여 보기 힘쓰는 것이 좋을 듯하도다.
(다음 호는 7월26일 제5권 제133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해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