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30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교화가 정치의 근본)
동서양을 물론하고 학식과 재주는 사람마다 숭상하는 바라. 사람이 재주에 학식을 겸하여 놓으면 범백(凡百,편집자 해석: 모든 종류) 사물에 무식하고 재주 없는 사람들보다 특별히 달라서, 선비가 되어도 과거를 하여 자품(資稟, 편집자 해석: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난 인격적 바탕)의 우열대로 지위를 당하여 사업을 한량없이 할 것이오, 농민이 되어도 남보다 특별히 인력을 덜 들이고 추수를 많이 거둘 것이오, 공장이 되어도 유명한 물화를 제조하여 온 세계가 다 이용하게 하고 명예와 재산을 수없이 얻을 것이오, 상민이 되어도 세계에 부상대고(富商大賈, 편집자 해석: 큰 자본을 바탕으로 전국적 또는 국제적으로 상업을 펼치는 거상(巨商))가 되어 한 사람의 상권이 나라 재력보다 낫게 될지라.
그런즉 세상만사가 다 이와 같아서, 재주가 조금 있고 학문이 또 그만하면 그 사업과 이익이 또한 그만 할 것이오, 재주도 많고 학식도 많으면 또한 사업과 이익이 그만 할지라. 그러나 본래 재주가 없는 자도 밝은 교육을 받으면 그 중에서 재주가 생기기도 하며, 본래 재주 많은 자도 교육을 받지 못하면 도리어 둔하여 무재(無才, 편집자 해석: 재능이 없는 사람)한 자만 못하여지기도 하나니, 학문(學問)이 어찌 사람을 잘 되게 하고 못되게 하는 근본이 아니리요. 마땅히 사람마다 학식으로 일평생 자본을 삼아 높은 사업을 이루고, 높이 대접을 받을진대, 나라가 자연 높은 대접을 받으며 날로 부강에 나아가리로다.
그러하나 학문을 공부하여 재주만 배앙하고 마음을 배양치 못하면 그 재주가 도리어 없는 이만 못하여지나니, 마땅히 교화(敎化, 편집자 해석: 사람을 가르쳐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로 먼저 학문의 기초를 잡은 후에 학문을 늘려야 그 학문이 비로소 전국의 마음을 함께 배양하여 좋은 마음으로 좋은 재주를 유공(有功, 편집자 해석: 어떤 일이나 임무를 수행하면서 공적을 세운 사람이나 행위)하게 쓸지라. 어찌 교화를 소홀히 여기리오.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인심이 날로 침의(沈毅, 편집자 해석: 사람들의 마음이 점점 더 침착하고 굳세어진다)하여 배우는 재주를 가지고 세상에 유익하게 쓸 줄 모르고, 혹 알지라도 그 일은 장원(長遠, 편집자 해석: 멀리 내다보는 계획)하여 경영치 아니하고, 궤휼(편집자 해석: 진실을 왜곡하거나 사람을 기만하는 행위)과 권변(權變, 편집자 해석: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적절하게 일을 처리하는 임기응변적인 수단)으로 당장 이익을 도모하므로, 정부 관원이 되어서도 개명한 정치학을 공부한 자가 완고하고 어두운 이보다 협잡과 간휼(奸譎, 편집자 해석: 교묘하고 간사한 꾀)을 더 심하게 하며, 농사를 하여도 남의 기계를 늑탈(편집자 해석: 폭력이나 위력을 써서 강제로 빼앗는 것)하거나 은구(隱溝, 편집자 해석: 비밀스러운 경로)로 기계를 대어 남의 노에 물 옮겨오기를 꾀하며, 공장이 되어서는 남을 속여서 물건을 만들어 재물을 취하며, 상민이 되어서는 금봉에 주석 가루를 섞는다, 은과 백동을 위조한다, 그 외 각색 재주로 휼계(譎計, 편집자 해석: 정치적 술수, 사기 행위)를 써서 세상을 속이고, 재리(財利, 편집자 해석: 경제적 이득)를 구하나니, 이런 일을 일일이 다 말할 수 없으나, 이런 일로 미루어 보아도 재주있고 학식 있는 자의 수단이 우준하고 무식한 자의 졸(拙: 편집자 해석: 서툴다)한 것보다 세상에 해가 더 심한지라.
그 재주 있는 자는 다만 세상만 해롭게 하고 자기 몸과 집안은 영구히 편하고 부요하다면 세상은 어찌 되었든지 나부터 내 평생 영귀안락(榮貴安樂, 편집자 해석: 명예와 부귀를 누리며, 마음도 평안하고 삶이 즐거운 상태)할 일을 취할 터이나, 이치가 그렇지 않은지라. 저 어리석은 자들은 목전의 이익만 탐하다가 당장 저의 몸이 사망에 빠지되 깨닫지 못하나니 어린아이가 우물에 들어감 같은지라, 어찌 불상치 않으리오.
세상사를 보아가면 혹 애인락선(愛人樂善, 편집자 해석: 타인을 사랑하고 도덕적 선을 실천하는 삶)하여 평생을 착한 일하기에 부지런하여 빈한곤궁(貧寒困窮, 편집자 해석: 경제적 빈곤에 심리적이고 환경적 고통)을 달게 여기는 자도 까닭 없이 화패(禍敗, 편집자 해석: 재앙이나 불운으로 인해 일이 실패하거나 망하는 상황)를 당하는 이도 있고, 혹은 충렬(忠烈, 편집자 해석: 충성스럽고 용감한 정신이나 행위)이 일월(日月, 편집자 해석: 세월)을 사무치고 의리가 상설(霜雪, 편집자 해석: 세상과 부딪히며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같은 자일수록 환란이 잦아서 고초를 면치 못하나니, 천리(天理, 편집자 해석: 세상의 정의와 도덕적 기준)의 보응(報應, 편집자 해석: 도덕적 질서에 따른 결과)이 지위 분명치 못할진대 차라리 이욕(利慾, 편집자 해석: 도덕이 무너진 상황에서 차라리 이익을 추구하다가 함께 망하는 것이 낫다)을 도모하다가 함께 재앙을 당하는 것이 옳다 할 터이나,이 중에 천리가 자재(自在, 편집자 해석: 스스로 작용하여 결과를 드러낸다)하여 그 환란질고(患亂疾苦, 편집자 해석: 극심한 고난과 시련)로 인애와 충의를 굳게 하여 드러냄이라. 육신의 고초를 이기어 가지고 이름과 공업은 영구히 빛나는 바이거니와, 저 물욕에 사망을 당하는 자들은 한 가지도 지탱하는 것이 없나니, 적이 지각 있는 자 어찌 이것을 탐하리오.
그러나 성질이 원체 맑지 못한 사람은 졸연히 깨닫지 못하나니, 마땅히 심성을 다스리는 교화를 받아 천리 인정의 관계를 알아 선악화복(善惡禍福, 편집자 해석: 선한 행위는 복을 부르고, 악한 행위는 재앙을 부른다)을 분간할 만한 후에 학문을 힘써야 참 쓰는 그릇이 될지니, 이러므로 교화가 학문의 근본이라 함이라. 성리(性理, 편집자 해석: 사람의 마음속에 깃든 도덕적 본성과 그것을 설명하는 철학적 원리) 다스리는 교화는 공맹(孔孟, 공자와 맹자)의 도로 근본을 삼을 터이나, 이 도는 중간에 쇠미하여 행하는 법을 알기 어려운지라. 서교(西敎, 편집자 해석: 기독교)의 좋은 책을 많이 보아 인의예지에 실지로 행하는 도리를 빙고할진대, 비록 그 교는 행하지는 않더라도 우리 유도(儒道, 편집자 해석: 유교적 도리와 인격 수양의 길)와 종지(宗旨, 편집자의 해석: 도덕적 수양, 인애, 충의, 예절)를 배워 본받기에 큰 효험이 있을 줄로 믿노라.
(다음 호는 7월24일 제5권 제127호)
※ 편집자 주
· 이번 기획 연재부터는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해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