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중 발언하는 한국측 대표.사진=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일본은 일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하시마(端島, 군함도) 탄광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며 약속한 후속조치를 이행하지 않고, 유네스코 논의에도 제동을 걸었다.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한국은 군함도 후속조치 이행상황 평가를 제안했으나, 일본의 반대로 정식 안건 채택이 무산됐다.
한일 간 표 대결까지 벌어졌지만, 일본의 양자 협상 주장이 더 많은 표를 얻었다.
일본은 유네스코 분담금의 영향력으로 한국의 주장을 막았다는 평가다.
회의중 발언하는 일본측 대표.사진=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재 시 조선인 강제동원 설명을 약속했으나, 2020년 도쿄에 설치한 정보센터에서 강제노동을 다루지 않고 일본 산업화를 강조해 역사 왜곡 논란을 낳았다.
세계유산위원회는 그간 일본의 부실한 조치를 지적했으나, 일본의 반대로 개선 논의가 어려워졌다.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 등재 시에도 전시시설 설치와 추도식을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않아 비판받았다.
이재명 정부의 우호적 한일관계 기조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과거사 태도가 경직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제 채택이 무산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과거사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유지하며, 일본과 미래지향적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도광산 추도식과 일본의 독도 도발 등 과거사 갈등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한일 간 불협화음이 누적되면 이재명 정부의 과거사와 협력 분리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
7일(현지시간) 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했는지 유네스코에서 따지려던 정부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갔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