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사진 찍는 당 대표 후보
13일 오후 대전 서구 배재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충청·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당 대표 후보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문수, 장동혁, 안철수, 조경태 후보.사진=연합뉴스
'반탄' 진영의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여(對與) 투쟁을 앞세웠다.
김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구속되고, 오늘 특별검사팀이 자랑스러운 국민의힘 중앙 당사를 압수수색하는 것은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폭탄을 던지는 테러 만행'"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당 대표 당선 시 "이재명 정권 3개 특별검사팀에 대한 인권탄압진상조사단을 구성하겠다"며 "이재명 독재에 반대하는 모든 국민과 연대하여 전국 각지에서 투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동혁 후보는 "헌정사 최초로 전직 대통령 부부가 함께 구속되는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조국 전 장관과 비교하면 공평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의 인권이 구치소에서 유린되는 것을 보고도 '내란 동조 세력'으로 몰릴까 봐 침묵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우리 당 내에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며 국민의힘 동지들을 팔아넘기는 것도 부끄러운 행위"라고 덧붙였다.
장 후보는 과거 당을 지키고자 했던 이른바 '윤어게인' 세력과 전한길 시민을 옹호하기도 했다.
반면 '찬탄' 진영의 조경태 후보와 안철수 후보는 12·3 비상계엄을 옹호하는 등 당에 해를 끼치는 극단 세력과의 결별을 강력히 촉구했다.
조경태 후보는 "당이 위기에 빠진 근본 원인은 불법 비상계엄을 자행한 윤 전 대통령 때문"이라고 직설적으로 비판하며 "우리 당을 망친 배신자인 윤석열 부부와 반드시 절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국민의힘을 괴물로 만들고 집권 여당의 지위를 야당으로 전락시킨 윤석열 부부가 바로 배신자"라며, 당 대표가 되면 "당에 남아있는 극우 세력을 단 한 명도 빠짐없이 몰아내겠다"고 공언했다.
안철수 후보는 "극단 세력과 연대하여 비상계엄을 옹호한다면 합리적인 보수 당원들이 모두 이탈하여 똘똘 뭉쳐도 지지율이 30퍼센트(%)를 넘지 못할 것"이라며, 이는 "내년 지방선거의 폭망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계엄 옹호 세력, 극단 세력과 결별해야만 이재명 민주당의 정당 해산 음모에 당당히 맞설 수 있다"며 "선동으로 당원을 기만하는 진정한 배신자와 결별해야만 계엄과 극단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힘 최고위원 후보 기념사진
13일 오후 대전 서구 배재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충청·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최고위원 후보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재원, 양향자, 최수진, 손범규, 김태우, 신동욱, 김근식, 김민수 후보.사진=연합뉴스
최고위원 후보들 사이에서도 '배신자론'을 둘러싼 설전이 계속되었다.
신동욱 후보는 "특별검사팀(SPP)이 우리를 '내란 정당'으로 몰아붙이는데도 저항하지 않고 스스로 무릎 꿇고 특별검사팀 앞에 나가 동지의 등에 칼을 꽂는 행위는 배신"이라며, 이번 전당대회가 "배신을 심판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김근식 후보는 "배신자라는 용어는 조폭 집단이나 북한의 수령제 사회에서 주로 사용되는 말"이라고 비판하며 "우리 국민의힘은 국민에 대한 신뢰와 의리를 저버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탄핵 반대에는 공감하지만, 계엄 옹호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으며, 지난 총선을 앞두고 김건희 여사 문제 해결을 촉구했던 자신의 발언이 "내부 총질이 아니었음"을 명확히 했다.
청년최고위원 후보 기념사진
13일 오후 대전 서구 배재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충청·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청년최고위원 후보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손수조, 최우성, 박홍준, 유재준.사진=연합뉴스
한편, 대구와 부산에서 열린 이전 연설회에 이어 이날 대전 연설회장에서도 지지자들은 자신의 성향과 반대되는 후보의 연설 도중 "배신자", "내려오라"는 등의 고성과 야유를 쏟아냈다.
장동혁 후보가 연설 중 눈시울을 붉히며 호소하자 일부 지지자들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으나, '찬탄' 진영 지지자들은 장 후보를 향해 '배신자'라고 외치며 맞섰다.
국민의힘 당사 찾아 유튜브 방송 하는 전한길 씨
국민의힘 전당대회 방해 논란 당사자인 전한길 씨가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절차가 시작된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당사를 찾아 징계의 부당함을 알리는 개인 유튜브 방송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1차 합동연설회에서 장내 소란으로 출입 금지 조치를 받은 전한길 시민은 전날 부산에 이어 이날도 연설회장에 입장하지 못하고 행사장 외부에서 유튜브(YouTube) 라이브(Live) 방송을 진행했다.
(유튜브 제공=국민의힘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