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성창경TV' 17일 방송 썸네일 캡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서버의 결과값을 조작할 수 있는 '변환 툴(tool)'이 포함된 계약서가 발견되어 파문이 일고 있다.

해당 계약서에 명시된 '컴파일러' 기능이 선거 결과 조작에 악용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2020년 21대 총선 부정선거 논란이 다시금 증폭되는 상황이다.

◆ 선관위 서버, 컴파일러 포함 계약 논란

유튜브 '성창경TV'가 17일 공개한 <선관위 선거 결과 값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 계약서 나왔다> 방송에 따르면, 민경욱 전 국회의원이 입수하여 제공한 2020년 21대 국회의원 선거 서버 관리 계약서에 '컴파일러 제공' 항목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컴퓨터 전문가들은 이 'C 컴파일러'를 일종의 변환 툴로 이해하며,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기존 프로그램을 변경, 삭제할 수 있는 개발 도구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도구가 단순 합산 연산만 필요한 선거 서버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의 표를 모두 합산하는 '더하기' 기능이 주목적인 선관위 서버는 원리가 매우 간단해 초등학생도 개발이 가능할 정도라고 전문가들은 언급한다.

그러나 이번 나라장터(국가종합전자조달 시스템)를 통해 공개된 계약서에는 '버전관리용 컴파일러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 컴파일러 기능, 부정선거 논란 증폭

해당 기능이 서버에 존재할 경우, 내부에서 정보를 수집·수정·조작하거나 외부 해킹을 통한 조작이 가능해진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 운영 장비의 기본 방침은 해킹이나 전산 부정을 막기 위해 컴파일러 기능을 제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이 계약서 내용이 국제 보안 표준에도 어긋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민경욱 전 의원은 이 계약서가 "조작 가능 환경의 존재를 입증하는 1차 자료"라고 평가했다.

그는 "금고 안에는 돈만 있어야 숫자가 그대로 있는데, 돈 찍는 기계가 있으면 숫자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비유하며, 컴파일러가 선거 결과값을 조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영상에서는 A, B 후보가 50:50으로 동률인 상황에서 컴파일러를 실행하면 66:34로 결과값을 변환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개표 서버는 국민 한 표 한 표를 집계하는 민주주의의 핵심 장치로, 그 안에 결과를 변환할 수 있는 툴이 있었다면 이는 단순한 계약 문제를 넘어 부정 선거를 나타내는 핵심 사안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 선관위 "내용 몰라" 해명…국제 선거 감시단 의혹까지

성창경TV 방송에 따르면, 보도를 진행한 한미일보는 계약서에 적힌 중앙선관위 정보 기반과 전화를 시도했지만 '없는 전화번호'로 나왔다고 전했다.

중앙선관위 대변인실 관계자는 해당 문의를 받은 적이 없고 내용을 모르며, 어떤 계약 내용인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메일로 문의하면 소관과를 찾아 답변 여부를 확인해 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대한민국 투표, 특히 사전투표와 관련해 부정선거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계약서 발견은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앞서 국제 선거 감시단은 한국에 들어와 한국은 부정선거가 있었고 그 배후에는 중국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우파 진영에서는 선관위의 이러한 '엉터리 선거 관리'가 부정선거와 연관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오는 9월 13일에는 미국에서 모스탄 대사와 고든 창 박사를 중심으로 관련 발표가 있을 예정이어서 부정선거 논란에 대한 추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투표 용지가 뭉터기로 발견되거나 3천여 장이 계속 1번으로 찍힌 채 나오는 등 끊임없는 의혹 덩어리에 대해 선관위가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제공=유튜브 '성창경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