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체서 뒷돈 챙긴 '리베이트 의사' 적발(CG).사진=연합뉴스

제약·바이오 업계는 최근 불법 리베이트 사건 여파로 수사 공포에 휩싸여 있다.

검찰은 3개 중견 제약사와 직원들을 전공의 리베이트 사건으로 기소하고, 경찰은 대웅제약 영업직원의 불법 리베이트 의혹을 재수사하며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북부지검은 혈액제제 전문 A사, 진통제 분야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C사를 약사법 위반 혐의로 각각 100만~300만원 벌금에 약식 기소했다. 이들 제약사 직원 3명은 약사법 위반, 배임증재, 사문서위조 등 혐의로 100만~500만원 벌금에 약식 기소됐다.

이들은 2019년 2월부터 2023년 7월까지 D학원 소속 의사들에게 제품 설명회 명목으로 50만~257만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혐의를 받는다.

대웅제약은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380여 병의원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의혹으로 재수사 중이며, 고려제약은 1천여명 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JW중외제약은 리베이트 비용을 복리후생비로 속여 법인세를 포탈한 혐의로 재판 중이다.

경찰은 오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불공정·공직·안전 비리 특별 단속을 벌이며 검찰·공수처와 공조하고, 보건당국은 자료 제공과 행정조치로 협력한다.

업계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강화하고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교육을 보강하며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한 의대 교수는 “은밀한 리베이트 수사는 전문성이 부족한 경찰로는 한계가 있다”며 “식약처 특사경이 주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