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한 달을 맞아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국정운영 기조를 밝혔다.

그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며 “동일한 주체가 수사권과 기소권을 가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들이 추석 전 개혁 얼개를 제안했는데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감사원 기능은 “국회로 넘길 수 있다면 넘기고 싶다”며 권력기관 개혁 의지를 밝혔다.

3대 특검에 대해 그는 “국민의 명령으로 내란을 종식하고 헌법 질서를 재건할 핵심 역할”을 기대하며 “정치보복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통합의 국정을 하겠다”고 밝혔다.

경제 정책으로는 “민생 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며 “공생하는 산업 균형 발전과 사회 안전 매트리스로 국민 삶을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추가경정예산안 질문에는 “현재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상법 개정과 주가조작 제거로 주식시장이 나아졌다”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주요 내용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민생의 고통을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무엇보다 무너진 민생 회복에 전력을 다하는 중"이라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부동산 시장 과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최근 대출규제는 맛보기”라며 “투기적 수요가 시장을 교란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공급 확대와 수요 억제책이 많이 남았다”며 “투자를 부동산에서 금융시장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교안보에서는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7월 8일까지 호혜적 결과를 내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일관계는 “과거사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안보와 경제 협력이 필요하다”며 “한미일 협력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남북관계에서는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과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며 “대북방송 중단에 북한이 호응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화를 단절하는 것은 바보짓”이라며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