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9일 제국신문 제5권 제101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이등박문 씨의 유람)

일본 전 총리대신 이등박문 씨는 육년 전에 대한에 와서 다녀갔던 이라. 일본을 중흥한 큰 정치가로 세계에 유명한 재상인데, 우리나에서도 그 사람의 행적을 아는 자 많은 바더라.

씨가 작년에 유람차로 구미 각국을 다녀 회국하였는데, 도처에 대접도 융숭하고 훈패와 상전(賞典)도 많았는데, 급기 덕국(德國)에 이른 즉 덕국 황제께서 간곡히 접대하시고 이르되.

짐이 몸소 귀 대신을 영접하매 영광이 불소(不少)하도다. 전 황제께서는 귀 대신에게 붉은 매를 수놓은 보석(寶石)을 주셨거니와, 짐은 별도로 귀중한 보석으로 꾸민 보석을 주노라. 하시고 그 수행원들을 돌아보시고 왈(曰); 군 등이 귀국하여 귀국에 저러한 대신 있는 것을 짐이 투기한다고 말하라. 이 대신은 곧 동방에 비스마르크라. 짐이 이런 대신 없는 것을 한하노라.

상고하건데, 비스마르크(Bismarck)는 한문으로 바사맥이라, 보로사 왕 윌리엄 제일을 도와 일천팔백칠십 년에 불란서를 이기고, 게르만(日耳愚) 각국을 합하여 덕국을 만들고, 그 왕으로 덕국 대황제가 되게 하였나니, 근데 세계 정치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재상이다. 칠년 전에 졸(卒)하매 각국이 다 슬피 여기는 바더라.

갑오년 전까지도 일본이 세상에 이름이 별로 드러나지 못하던 나라였다. 토지와 인민을 청국에 비하면 겨우 십분지 일에 부치는 처지로 감히 청국을 대적하여 전쟁을 시작하자, 당시에 세상에서 치소(嗤笑)하기를, 어린아이가 힘센 장정과 다툼 같아 하여 그 망령됨을 웃더니, 급기야 평양과 의주서 패하고, 압록강을 건너 여순 대련만으로 물밀 듯 들어가매 장차 북경이 소동될지라. 부득이 이홍장(李鴻章)을 보내어 사억만 원 배상과 대만을 떼어 주고, 천만 애걸하여 간신히 화친을 이루었나니, 각국이 모두 당연 실색하여 그 기이함을 말하되, 삼십년 전에 구라파 북방에 조그마한 보로사 국이 당당한 세계 강국 불란서를 승전한 일보다 더욱 신기하다 하였는지라.

이때에 이등박문 씨가 일본에 총리대신으로 전쟁을 작정하고, 나중에 이홍장과 평화 호약을 정하였나니, 일본의 명예는 더욱 말할 것 없거니와 이등박문의 영광이 어떠하겠느뇨. 이러므로 덕국 황제께서 씨를 동양에 비스마르크라 하고, 일본에 이 대신 있는 것을 부러워한다 하였으니, 나라에 신하된 자 이런 사적을 들으면 어찌 부러운 마음과 욕심이 없으리오. 이등박문으로 말하면, 당초에 불과 동방 조그마한 섬 중 나라에 일개 신민이라. 그때에 일본국을 세상에서 별로 알지 못하였거든 일개 이등박문을 뉘 알았으리요. 경장 시초를 당하여 미국에 가서 공부하여 가지고 세상 형편을 깨달으니, 동방의 위태함이 시일이 급한지라, 곧 돌아와 개명주의를 힘써서 대신이 되어 가지고 수십 년 동안에 은근히 국세를 강하게 만들어 청국과 백전백승할 예산을 미리 정하고 앉으니, 청인은 아무리 강성하나 속이 어두워 겁내는 마음만 있는 고로 일패도지(一敗塗地) 하였나니, 개명하고 아니하는 관계가 이러한지라. 세계 정치가 평론이 만일 청국이 부대(富大)함으로 개명만 힘쓸진대 세계에 대적할 나라가 없으리라 하더라.

대개 이 처지를 당하여 나라의 신하된 자 참 큰 욕심을 품고, 나라를 개명 부강(富强)시켜 국세가 강장(强壯)하게 만들고자 할진대, 일도 심히 용이하고 공업이 극히 커지는 바라. 나라가 개명에 힘을 얻으면 오늘 잔약빈한(孱弱貧寒)한 처지로도 몇 해 안에 사람의 의사 밖에 나는 표적이 드러나는 법이니, 그 지위를 얻은 자가 힘쓰고자 할진데 어려운 일이 아니건만, 사람이 항상 목전에 적은 이익을 도모하여 참 무궁한 사업과 영원한 영화 이룸을 도모치 못하나니, 실로 한심한 인생들이라.

이런 천재일시(千載一時)되는 기회를 잃고 여간 부귀를 누린다 한들 이런 때를 장차 언제 다시 만나 보리오. 이등박문이 실로 별 사람이 아니라, 능히 그 기회를 당하여 그 지위를 얻어 가지고 기틀을 맞춰 일하여 된 것이니, 이런 장원한 욕심을 먹고 공업(功業)을 도모하여 대한에 비스마르크가 생기기를 힘써 볼 때로다.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